[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30. 개화정책
개항 이후 정부는 개화 정책을 추진하며 근대 문물을 수용하는데요, 사절단과 유학생을 파견하여 선진문물을 배워오게 합니다.
일본으로 조사 시찰단 박정양 등이, 청나라로 영선사 김윤식 등이, 미국으로 보빙사 민영익 등이 파견되어 근대문물을 들여오고 시설을 설치합니다.
인쇄관련 업무 박문국, 근대적 무기공장 기기창, 화폐를 만드는 전환국 등이 설치되고 우편 사업도 실시하지만 1884년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갑신정변이 일어나 폐쇄됩니다.
1895년 을미개혁때 정부가 우체사를 설립하면서 우편 사업이 재개되고 1900년부터는 만국 우편 연합에 가입하여 국제 우편 업무도 실시합니다.
개항 초기에는 청과 일본이 조선의 전신업무를 주도하다가 1896년부터 조선 정부가 전기 통신을 관장하는 전보사를 설립하고 전신업무를 담당합니다.
보빙사 일행이 미국에서 본 전등을 보고 경복궁에 최초로 전등을 설치하지만 초기에는 작동이 잘되지 않았습니다.
1898년에는 한성전기회사가 설립되며 민간에도 전기가 보급되고 1899년에는 전차가 운행되기도 합니다.
청일전쟁을 계기로 철도 부설권에 눈독을 들이던 일본이 경인선, 경부선, 경의선 모두 일본자본에 의해 부설되게 됩니다.
1885년 최초의 근대식 병원인 광혜원이 설립되고 후에 제중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이어서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서양 의학에 관심이 많았던 지석영은 일본에서 종두법을 배우고 천연두를 예방하는데 힘쓰기도 합니다.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 피신해 있을 때 서양 요리를 접하고 후에도 서양식 요리와 커피를 즐겼다고 합니다.
1909년에는 나철, 오기호 등이 단군신앙을 바탕으로 대종교를 창시하고 만주에서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던 독립군의 정신적 바탕이 됩니다.
박은식은 유교 구신론을 통해 유교를 민중 중심으로 개혁할 것을 주장하고 한용운은 조선 불교 유신론을 저술하여 조선 불교의 혁신과 자주성 회복을 강조합니다.
1883년 함경도 원산 주민들이 최초 근대식 사립학교인 원산학사를 세우고 근대 학문과 외국어를 가르칩니다.
원산은 강화도 조약으로 문을 연 개항장으로 근대 문물을 빠르게 접한 원산 주민들이 지역 아이들을 새시대 리더로 키우려 근대식 학교를 만듭니다.
정부에서도 외국어 교육기관인 동문학, 근대 교육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하고 양반 자제들이 미국인 강사를 초빙하여 근대 학문을 가르칩니다.
갑오개혁때 교육입국조서가 반포되면서 교육제도가 크게 변화하는데, 사범학교, 소학교, 외국어 학교등 많은 관립학교가 세워지고 근대적 교육제도가 마련됩니다.
광무개혁 때는 상공업 진흥책에 따라 광업학교, 철도학교 등 많은 실업학교가 설립되어 유학생이 파견되어 근대 문물을 배워옵니다.
을사늑약 전후로는 계몽 운동이 전개되면서 민족 지도자들이 세운 사립학교가 등장하는데요, 안창호의 대성학교(평양), 이승훈의 오산학교(정주)가 있습니다.
정부는 박문국을 설치하고 한성순보를 발간하고 서재필을 중심으로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순한글+영문판으로 제작해 외국에도 국내 소식을 전합니다.
대한 제국 시기에는 제국신문과 황성신문이 창간되는데요, 황성신문은 한자가 많아서 지식인과 유생들이 주로보고, 제국신문은 순 한글로 간행되어 서민층과 부녀자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대한 제국 시기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신문은 대한매일신보인데, 양기탁등 애국지사들이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내세워 상대적으로 일제의 간섭에서 자유로웠습니다.
대한매일신보는 순한글, 국한문, 영문 세종류로 발행되어 독자층의 폭이 넓었고 발행부수도 가장 많았고 국채보상운동을 전국으로 확산시키는데도 기여합니다.
1907년에 창설된 국문 연구소는 문법과 맞춤법 등을 연구하고, 1908년에는 국어 연구학회가 창립되며 일제 강점기 조선어 학회로 그 맥이 이어집니다.
일본은 신문지법, 출판법, 학회령, 보안법 등을 만들어 저항 운동을 마구 탄압합니다.
관련 영상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_TPP9_g49Jk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32. 일제강점기 - 무단통치(1910년대) (28) | 2022.09.03 |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31. 독도, 간도의 역사 바로알기 (26) | 2022.09.02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29. 국채보상운동 (2) | 2022.09.01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28. 항일운동 (8) | 2022.08.31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27. 대한제국 (6)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