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Life

한국 학생들 장래희망은 무엇일까? 예전과 달라진점?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2. 12. 20.
반응형
SMALL
장래희망으로 컴퓨터 공학자나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꼽은 중고교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몇년째 상위권을 차지했던 공무원은 인기가 뚝 떨어졌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6~7월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만27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을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 희망직업 순위 1위는 운동선수, 2위 교사였고 3위는 유튜버 등 크리에이터였다. 크리에이터는 2020년과 2021년에는 4위였는데 올해 의사를 밀어내고 3위로 올라섰다.
 
중학생은 1위 교사, 2위 의사, 3위 운동선수 순이었다. 고등학생은 1위 교사, 2위 간호사, 3위 군인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메타버스(가상세계) 등 온라인 기반 산업이 주목받으면서 프로그래머 등 컴퓨터공학, 정보통신(IT) 계열 직업을 원하는 학생들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중학생 장래희망에서 2020년 10위, 2021년 8위였던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는 올해 5위로 뛰었다. 고등학생 희망직업 순위에서도 2년 연속 5위를 차지했다.
반면 공무원은 순위가 내려갔다. 공무원은 중학생 희망직업에서 2020년 7위, 2021년 6위였지만 2022년에는 10위에 그쳤다. 고등학생 희망순위에서도 2021년 6위에서 2022년 11위로 하락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6~7월 전국 초중고생 2만 2702명 등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을 벌인 '2022년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의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로 9.8%를 차지했다. 2019년 이후 4년째 1위다. 2위는 6.5%를 얻은 교사, 3위는 크리에이터(6.1%), 4위는 의사였다.


중학생의 희망 직업 1위는 교사로 11.2%였다. 2위는 의사로 5.5%, 3위는 운동선수로 4.6%였다. 경찰관·수사관,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각각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고등학생의 희망 직업도 1위는 교사(8.0%)였다. 2위는 간호사(4.8%), 3위는 군인(3.6%), 4위는 경찰관·수사관(3.3%), 5위는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3.3%)였다.

"희망 직업이 없다"는 초등학생은 지난해보다 1.6%p 줄어든 19.3%였다. 반면 중학생은 전년보다 1.4%p 늘어난 38.2%, 고등학생은 3.5%p 증가한 27.2%로 집계됐다.

희망 직업이 없다는 중학생 가운데 52.5%와 고등학생 47.7%는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직 몰라서"를 꼽았다. 초등학생 가운데는 39.2%가 "내가 잘하는 것(강점)과 못 하는 것(약점)을 몰라서", 37.8%는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직 몰라서"를 꼽았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교 6학년생 6929명, 중학교 3학년생 8649명, 고등학교 2학년생 7124명 등 총 2만2702명의 희망 직업을 조사한 결과다.

● 의사보다 크리에이터 되고 싶은 초등학생


초등학생 희망 직업 조사에서 크리에이터는 3위(6.1%), 의사는 4위(6.0%)를 차지했다. 2017년까지 20위권 밖이었던 크리에이터는 2018년 5위에 올랐다. 이듬해엔 3위까지 올라, 2007년 조사 이래 처음으로 의사(4위)를 앞질렀다.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한 2020, 2021년에는 보건·의료분야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의사가 2위, 크리에이터가 4위로 순위가 역전됐다.

올해 다시 크리에이터를 희망하는 초등학생이 늘어난 것은 디지털 기기 노출이 잦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유튜브와 틱톡 등 영상 콘텐츠로 수익을 올리는 경우가 늘면서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크리에이터는 중학생 희망 직업 조사에서는 18위, 고등학생 조사에서는 20위 권 밖으로 조사돼 상급학교에 진학할수록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직업 선호 1위는 운동선수로 지난해와 같았고, 2위는 교사로 지난해보다 한 단계 올랐다. 3위 크리에이터, 4위 의사, 5위 경찰관과 수사관 순이다.

2022년 초중고생 희망 직업 순위. 자료=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중고교생, 소프트웨어 개발자 선호 상승


중학생 희망 직업 조사에선 컴퓨터공학자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 순위가 크게 올랐다. 2020년 10위에서 지난해 8위, 올해는 5위(2.9%)까지 올랐다. 전통적인 인기 직종인 군인(6위·2.7%)), 공무원(10위·2.3%)보다도 순위가 높았다.

신산업 분야를 희망하는 중·고교생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게임 개발자, 항공·우주공학자, 빅데이터 전문가 등 신산업 분야를 희망하는 중학생 비율은 2017년 4.69%에서 올해 5.42%로 늘었다. 고등학생은 같은 기간 5.45%에서 8.19%로 늘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온라인에 기반 한 산업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등학생 희망 직업 순위는 1위 교사(8.0%), 2위 간호사(4.8%), 3위 군인(3.6%), 4위 경찰관·수사관(3.3%), 5위 컴퓨터 공학자 및 소프트웨어개발자(3.3%)로 지난해와 같았다. 지난해 6위였던 공무원은 11위로 선호도가 낮아졌다. 졸업 후 창업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은 지난해 1.6%에서 올해 2.9%로 크게 늘었다.

● 코로나19 이후 “희망 직업 없다” 늘어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은 진로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 직업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없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19.3%, 중학생 38.2%, 고등학생 27.2%로 조사됐다. 지난해보다 중학생(36.8%), 고등학생(23.7%)은 ‘없다’라는 응답이 늘었고, 초등학생(20.9%)은 줄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에는 그 비율이 초등학생 12.8%, 중학생 29.1%, 고등학생 20.5%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진로 체험 활동이 제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민경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진로직업플랫폼센터장은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이 늘어난 데에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있었다”며 “신산업이 발달하고 직업이 다양해지면서 특정 직업을 답하기 어려운 학생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이 꼽은 장래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였고, 교사와 크리에이터, 의사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중고생 희망직업은 '교사'가 3년째 1순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중학생은 의사와 운동선수, 경찰관 순이었고, 고등학생은 간호사, 군인, 경찰관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전문가와 정보보안전문가 등 신산업 분야의 직업군을 희망하는 중학생이 2012년 2.96%에서 올해 5.42%, 고등학생은 4.12%에서 8.19%로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9.8%)였고, 2위는 교사(6.5%), 3위는 크리에이터(6.1%), 4위는 의사(6.0%)였습니다.


운동선수는 지난 2019년부터 4년째 초등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학생 희망 직업 1위는 교사(11.2%), 2위는 의사(5.5%), 3위는 운동선수(4.6%), 4위는 경찰관/수사관(4.3%)이었습니다.

고등학생은 교사(8.0%), 간호사(4.8%), 군인(3.6%), 경찰관/수사관(3.3%),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3.3%) 순으로 희망 직업을 꼽았습니다.

졸업 후 창업을 희망하는 고등학생 비율은 꾸준히 증가해 올해는 지난해보다 1.3%p 상승한 2.9%를 기록했습니다.

희망하는 직업이 없다고 답한 학생은 초등학생 19.3%, 중학교 38.2%, 고등학교 27.2%에 달했습니다.

초등학생의 경우 지난해보다 1.6%p 감소했지만 중학생은 1.4%p, 고등학생은 3.5%p 각각 증가한 수치입니다.

크리에이터는 제작년과 작년에 4위를 기록했는데, 올해 의사를 밀어내고 3위로 올라섰습니다.

중학생의 경우 1위는 교사, 2위는 의사, 3위는 운동선수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등학생은 1위 교사, 2위 간호사, 3위 군인이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전문가와 정보보안 전문가 등 신산업 분야의 직업군을 희망하는 중·고등학생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중학생은 2012년 2.96%에서 올해 5.42%, 고등학생은 4.12%에서 8.19%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공무원은 순위가 내려갔습니다.

공무원은 중학생 희망 직업에서 2020년 7위, 2021년 6위를 기록했는데 올해는 10위에 그쳤습니다. 고등학생 희망 순위에서도 작년 6위에서 올해 11위로 하락했습니다.


희망직업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눈에 띕니다.

희망 직업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없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19.3%, 중학생 38.2%, 고등학생 27.2%로 조사됐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에는 그 비율이 초등학생 12.8%


, 중학생 29.1%, 고등학생 20.5%이었습니다.

김민경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진로직업플랫폼센터장은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이 늘어난 데에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있었다"면서 "신산업이 발달하고 직업이 다양해지면서 특정 직업을 답하기 어려운 학생도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노컷뉴스, 동아일보, MBC, 광주방송, 아시아경제, MBN, 한국경제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