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Life

중국에서 유행하는 입친구 '쭈이여우'는 대체 무엇?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2. 12. 18.
반응형
SMALL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연애는 하지 않고 키스만 나눌 상대를 의미하는 ‘쭈이여우(嘴友·입친구)’라는 단어가 유행하고 있다고 중국 매체 펑파이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최근 보도했다.


SCMP와 펑파이는 관련 보도에서 최근 중국 내 소셜미디어와 대학 게시판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완전히 낯선 사람과 키스만 나눌 것을 제안하는 ‘입친구’라는 용어가 확산 중이라고 전했다.

‘입친구’의 규칙은 단순하다. 그저 키스만 나눌 뿐 연애 등 관계를 맺거나 잠자리를 갖지 않는 것이다. 서로 생활에 간섭하지도 않고 어느 한쪽이 원하면 관계를 중단해야 한다.'쭈이여우'는 키스만 하되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고 성관계를 갖지도 않으며 서로 생활에 간섭하지도 않고 어느 쪽이든 원하면 관계를 중단하는 일종의 '합의'에 의한 관계를 의미한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합의'에 따라 키스한 뒤 더 이상 서로 연락을 하지 않는 '익명의 일회성 관계'인 경우도 많다고 한다. 2008년께 처음 등장한 개념이나 최근 다시 온라인상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펑파이는 쭈이여우 관계를 경험한 젊은이들을 취재한 결과 '감정 처리 능력이 걱정돼 진짜 연애 하기는 두렵다', '진짜 연애를 하고 싶지만 여러 이유 때문에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찾는 대안' 등의 반응이 나왔다고 전했다.


시간, 감정, 돈을 투입하기 마련인 보통의 '연애'를 할 자신이 없고 여건이 허락되지 않은 젊은이들이 '이성과의 스킨십 있는 친구 관계'를 원하면서 '쭈이여우'를 찾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를 두고 온라인 여론은 엇갈렸다. '개인의 선택일 뿐이다', '문제없다고 본다. 다만 상대를 주의 깊게 체크해야 할 것'이라는 식의 반응이 있는가 하면 '물물교환과 다름없는 관계', '감염병은 어떻게 하느냐'는 등 부정적 견해도 나왔다. 또 온라인에서 쭈이여우를 찾는 글에는 성희롱성 댓글이 붙기도 했으며 쭈이여우로 만난 사람이 성관계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펑파이는 전했다.

또 낯선 사람을 만나 키스를 나눈 이들은 이후에 일절 서로에게 연락을 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입친구’는 2008년쯤 처음 등장한 개념인데 최근 다시 온라인상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 여대생은 ‘입친구’ 관련 게시물을 보고 이게 바로 자신이 원했던 관계였기에 관심이 갔다면서 “주변에 키스만 하고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키스는 흔한 일이며 큰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미술 전공 학생은 작품을 만들고 논문을 쓰느라 진지한 관계를 이어가기에 너무 바빠서 ‘입친구’를 찾는 시도를 한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그는 “공식적인 관계를 맺으려면 두 사람이 서로를 오랫동안 알아가야 하지만 내가 그럴 정도로 경험이 많지 않아서 누군가의 여자친구가 될 준비가 된 것 같지 않다”며 ‘입친구’를 찾는 이유를 밝혔다.


베이징의 한 명문대 학생은 “키스만을 위한 상대를 찾는 것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킨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한 영화관에서 만난 남성과 ‘입친구’를 시도해본 적 있다는 한 여성은 ‘입친구’를 처음 시도하려는 이들을 위한 조언을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올려 눈길을 끌었다. 그는 다른 여성들에게 “술집이나 골목길, 또는 누군가의 집과 같은 장소에서는 키스하는 데 동의하지 말라”면서 “만나기 전에 해도 되는 행동과 해선 안 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나열하고 경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난징대 심리건강교육연구센터 페이쥔펑 전 주임은 펑파이와의 인터뷰에서 ‘입친구’ 현상에 대해 “많은 젊은이들이 연애 경험 부족, 낮은 자신감 및 자존감, 신뢰 문제 등의 이유로 관계에 대해 감정적인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는 세태를 반영하고 있다”면서 “친밀한 관계를 원하면서도 이를 다룰 수 있을지 걱정하고 두려워한다. 그러면서도 성적인 목적으로만 만나는 것도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18일 중국 매체 펑파이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연애는 하지 않고 입맞춤만 나눌 사람을 찾는 메시지가 SNS 또는 대학가 게시판 등에 확산 중이다.

‘쭈이여우’는 입맞춤만 하되 연인 관계로 발전하거나 다른 스킨십은 하지 않는다. 서로 생활에 간섭하지도 않고, 어느 쪽이든 원하면 관계를 중단할 수도 있는 일종의 ‘합의’에 의한 관계다.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입맞춤만 한 뒤 더 이상 서로에게 연락하지 않는 일회성 만남도 존재한다.

‘쭈이여우’는 이미 2008년 등장한 개념이지만 최근 다시 SNS를 통한 주목을 받고 있다.

​펑파이는 직접 ‘쭈이여우’ 관계를 경험한 젊은이들을 통해 ‘감정 처리 능력이 걱정돼 진짜 연애를 하기는 두렵다’, ‘진짜 연애를 하고 싶지만 여러 이유 때문에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찾는 대안’ 등의 반응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또 시간, 감정, 돈을 투입하기 어려워 ‘쭈이여우’가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온라인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개인의 선택일 뿐이다’, ‘문제없다고 본다. 다만 상대를 주의 깊게 체크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물물교환과 다름없는 관계’, ‘감염병은 어떻게 하느냐’ 등의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했다.

난징대 심리건강교육연구센터 페이쥔펑 전 주임은 펑파이와의 인터뷰에서 “쭈이여우는 진정한 연애 경험이 아니다”며 “친밀한 관계로 들어갈 용기가 부족하고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 없으며 타인을 불신하는 상황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중국 매체 펑파이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내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세 속에 현실성이 떨어져 보이기도 하지만 연애는 하지 않고 키스만 나눌 사람을 찾는 메시지가 SNS 또는 대학가 게시판 등에 확산 중이다.

`쭈이여우`는 키스만 하되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고 성관계를 갖지도 않으며, 서로 생활에 간섭하지도 않고 어느 쪽이든 원하면 관계를 중단하는 일종의 `합의`에 의한 관계를 의미한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합의`에 따라 키스를 한 뒤에는 더 이상 서로 연락을 하지 않는 `익명의 일회성 관계`인 경우도 많다고 한다.

이는 2008년께 처음 등장한 개념이나 최근 다시 온라인상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펑파이는 쭈이여우 관계를 경험한 젊은이들을 취재한 결과 `감정 처리 능력이 걱정돼 진짜 연애를 하기는 두렵다`, `진짜 연애를 하고 싶지만 여러 이유 때문에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찾는 대안` 등의 반응이 나왔다고 전했다.

시간, 감정, 돈을 투입하기 마련인 보통의 `연애`를 할 자신이 없고, 여건이 허락되지 않은 젊은이들이 `이성과의 스킨십 있는 친구 관계`를 원하면서 `쭈이여우`를 찾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온라인 여론은 엇갈리고 있다.

`개인의 선택일 뿐이다`, `문제 없다고 본다. 다만 상대를 주의깊게 체크해야할 것`이라는 식의 반응이 있는가 하면, `물물교환과 다름없는 관계`, `감염병은 어떻게 하느냐`는 류의 부정적 견해도 존재했다. 또 온라인에서 쭈이여우를 찾는 글에는 성희롱성 댓글이 붙기도 하고, 쭈이여우로 만난 사람이 성관계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펑파이는 전했다.

중국 펑파이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중국 SNS 상에 ‘쭈이요우(嘴友·입친구)’라는 신조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쭈이요우’는 키스만 하되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고, 성관계를 갖지도 않으며, 서로 생활에 간섭하지도 않고 어느 쪽이든 원하면 관계를 중단하는 일종의 ‘합의’에 의한 관계를 의미한다는 게 매체들의 설명이다.

 

심지어 쭈이요우가 ‘익명의 일회성 관계’가 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로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합의에 따라 한 번 만나 키스를 한 뒤 ‘쿨’하게 헤어지고 더 이상 연락을 하지 않는 식이다.

 

펑파이는 쭈이요우 관계를 경험한 젊은이들을 취재한 결과 “감정 처리 능력이 걱정돼 진짜 연애를 하기는 두렵다”, “진짜 연애를 하고 싶지만 여러 이유 때문에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찾는 대안” 등의 반응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출처: 서울신문, 국민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디지털타임즈, 데일리안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