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5. 통일신라의 역사(남북국시대)
왕위를 계승하던 성골은 진덕 여왕을 끝으로 신라 사회에서 사라지게 되고 무열왕계 직계 후손의 전제 왕권 체제에서 통일 신라는 한동안 안정과 번영을 누립니다.
그러나 무열왕계의 권력 독점에 불만을 품은 진골 귀족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치열한 왕위 쟁탈전이 벌어집니다.
먼저 신라 중대에 왕권이 강화되어가는 과정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통일전쟁으로 권력은 왕에게 집중되었고 문무왕과 신문왕의 노력으로 왕권이 강화됩니다.
문무왕은 고구려, 백제의 지배층에게 관등을 부여하여 신라 지배 체제로 끌어들입니다.
지방관의 비리를 감시하기 위해 외사정이라는 관리를 파견하고 지방 세력을 통제하기 위해 상수리 제도를 실시합니다.
이 제도는 지방 세력가나 그 자제를 일정 기간 수도에 와서 거주하게 한 것인데 한 마디로 인질 제도입니다.
고구려의 제가회의에서 여러 가들이 모여 회의를 했듯이 신라에서는 화백 회의에서 여러 귀족들이 모여 회의를 했습니다.
화백 회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고 회의를 주관하는 우두머리를 상대등이라 했습니다.
귀족의 우두머리인 상대등 세력이 강화되면 왕권은 어떻게 될까요? 약화됩니다.
왕권과 신권은 반비례 관계인데요, 왕권이 강해지면 신권이 약해지고, 신권이 강해지면 왕권이 약해집니다.
신문왕은 상대등 대신 왕의 오른팔로서 왕의 명령을 전달해주는 부서인 집사부의 힘을 키워 귀족의 힘을 누릅니다.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을 준 것이 아니라 관료전을 먼저 주고 그 다음 단계로 녹읍을 폐지하면서 귀족들의 반발을 최소화한 것입니다.
신문왕은 전국을 9주 5소경 체제로 정비하는데요 수도인 경주가 한쪽에 치우쳐 있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작은 수도 5개를 만든 것입니다.
그리고 군사제도를 9서당 10정으로 정비하는데요, 중앙군인 9서당에는 신라인과 더불어 고구려인과 백제인도 들어가는데 민족융합정책입니다.
지방군은 10정으로 편성했는데 9개주마다 1정씩 설치하고 국경지역인 한주에는 2정을 두어 총 10정이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신진 세력을 키우는데 관직에 6두품 세력을 대거 등용합니다.
녹읍은 노동력을 마음대로 쓸 수 있고 농민들을 자기 병사로 만들 수도 있으니 귀족들한테 아주 좋은 제도였습니다.
중앙에서 지방을 통제하는 힘이 약화되면서 조정에 들어와야 할 세금조차 올라오지 않으면서 나라의 재정은 결국 궁핍해집니다.
무리한 조세 독촉과 가혹한 수탈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이 들고 일어나는데 대표적인 반란이 진성 여왕 때 일어난 원종과 애노의 난입니다.
이 과정에서 지방에서는 호족이라는 세력이 성장합니다.
호족은 자신이 속한 지역을 다스리며 독자적인 군사력도 갖추었고 일부 6두품 세력은 호족과 결탁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 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신라 말에 풍수지리 사상과 선종이 크게 유행합니다.
진골 귀족의 근거지는 경주인데 신라 말에 유입된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경주의 기운이 이미 쇠했다는 것으로 호족들은 자신의 근거지가 새로운 명당이라 주장합니다.
호족은 1세대와 2세대로 나눌 수 있는데 1세대 호족의 대표 인물은 바다의 왕자 해신이라고도 불리는 장보고입니다.
당시 당항성과 수도 근처의 울산항이 신라의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했는데 무역선을 갈취하는 해적이 출몰합니다.
해적들은 신라 사람들을 잡아가 당에 노예로 팔아넘기기도 하는 무질서한 해상 질서를 단박에 잡은 해상왕이 등장합니다.
장보고는 지금의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고 해적을 소탕하고 당과 신라, 일본을 오가는 배들의 안전을 살피며 이 일대의 해상권을 장악하고 중계 무역을 했습니다.
당시 국제 무역의 중심은 당이었고 많은 신라인과 발해인들이 당으로 건너갑니다.
그래서 장보고는 중국 산둥반도에 사찰 법화원을 짓기도 합니다.
2세대 호족은 후백제를 세운 견훤과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인데요 이들을 밀치고 새로운 세력으로 떠오른 사람이 바로 왕건입니다.
과제 또는 수업시간에 활동할 수 있는 학습지도 같이 첨부합니다.
제 글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다면 더 자세한 내용이 있는 아래 영상도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상에 더 자세한 내용이 있고 구독 & 좋아요는 더 좋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ZVnyJUXVKJQ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7. 후삼국통일 N 고려탄생 (8) | 2022.08.02 |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6. 삼국시대문화 (15) | 2022.08.01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 4. 신라의 삼국통일 (10) | 2022.07.29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3. 백제와 고구려 (19) | 2022.07.28 |
[짜투리시간에 공부하는 한국사] 2. 철기시대 여러나라 (10) | 2022.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