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우리나라 중산층 평균가구 소득은 얼마? 500만원?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3. 2. 24.
반응형
SMALL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늘었지만 실질 소득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 때문이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3만4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1%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소득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근로소득은 7.9% 증가했지만 이전소득은 5.3% 감소했다. 경조소득·보험금 등을 의미하는 비경상소득은 7.4% 줄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은 지난해 4분기 1.1% 감소한 442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이후 24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분기별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2.8%)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7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5.9% 증가했다.

월평균 소비지출을 세부적으로 보면 △음식·숙박(14.6%) △교통(16.4%) △오락·문화(20.0%) △교육(14.3%) 등에서 지출이 크게 늘었다. 반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11.5%) △기타상품·서비스(-3.7%) △식료품·비주류음료(-1.1%) 등에선 지출이 줄었다.

소비지출을 주요 비목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주거·수도·광열 지출이 29만6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0%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주택유지 및 수선(-10.5%) 지출은 감소했지만 연료비(16.4%), 월세 등 실제주거비(3.5%) 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교통 지출은 34만5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6.4% 증가했다. 오락·문화 지출은 17만3000원으로 20.0% 늘었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90만5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3.2%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만 7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6% 증가했다.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42만7000원으로 2.9% 늘었다.

소득분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4분기 5.53배를 기록해 전년 4분기(5.71배) 대비 개선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눈 후 5분위 소득이 1분위의 몇 배인지 계산한 지표다.


한편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4만원으로 전년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업소득(101만8000원)은 전년 같은기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인건비와 원자잿값이 오르며 사업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이전소득(57만원)도 2021년에 지급됐던 소상공인 손실보전금이 사라지면서 5.3% 줄었으며 경조소득·보험금 등을 의미하는 비경상소득도 7.4% 감소했다.

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은 지난해 4분기 1.1% 줄어든 442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이후 24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분기별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2.8%)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2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늘었다.

항목별로는 소비지출(269만7000원)이 5.9% 늘어 4분기 기준으로 2009년(7.0%)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0.6%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4분기 연속 0%대 증가율을 보였다. 고물가 등으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실질적인 소비지출은 둔화한 셈이다.

품목별로는 주거·수도·광열 지출이 1년 전보다 6.0% 늘었다.

[사진 = 연합뉴스]특히, 전기요금·가스요금 등 냉·난방비가 포함된 연료비 지출이 16.4% 급증해 1인 가구 포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전 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 폭으로 늘었다.

교통비 지출도 전년 동기 대비 16.4% 늘었는데, 이 중 자동차 기름값 등이 포함된 운송기구 연료비가 9.1% 증가했다.

세금이나 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92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대출 이자 관련 지출이 28.9% 급증하며 2006년 이래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갈아치웠다.

통계청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영향 등으로 대출 이자비용 지출이 증가했다”며 “금액으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에서, 증가율로 보면 기타 신용대출에서 각각 지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항목별로 보면 근로소득(312만1000원)이 7.9% 늘어 1인 가구 포함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4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로써 근로소득은 2021년 2분기부터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에 비해 사업소득(101만8000원)은 전년 대비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인건비와 원자잿값이 상승하며 사업 수익성이 악화한 탓이다.

이전소득(57만원)은 2021년에 지급됐던 소상공인 손실보전금이 사라진 영향으로 5.3% 감소했다.


▲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으로 올해 1월 물가가 5% 넘게 오르며 3개월 만에 상승폭이 확대된 가운데 14일 춘천 대학가 원룸 건물에 가스 계량기가 나란히 설치돼 있다.
하지만 물가 상승 속도는 소득 증가보다 빨랐다.

물가를 고려한 작년 4분기 실질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해 3분기(-2.8%)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실질소득 감소 폭은 4분기 기준으로 2016년(-2.3%) 이후 6년 만에 가장 컸다.

작년 4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2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항목별로는 소비지출(269만7000원)이 5.9% 증가해 4분기 기준으로 2009년(7.0%)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그러나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0.6%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4분기 연속 0%대 증가율을 나타냈다.


▲ 음식점, 노래방, 호텔 등 업종별 소상공인들이 난방비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고물가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실질적인 소비지출은 둔화했다는 의미다.

세금이나 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92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비소비지출 증가 폭은 4분기 기준으로 2019년 4분기(9.6%) 이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특히 이자 비용 지출이 28.9% 급증하며 2006년 이래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갈아치웠다.

다만 부동산 거래 감소로 취득세 등의 납부가 줄면서 비경상조세 지출은 45.9% 급감했다.

4분기 전체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실제 처분가능소득은 390만5000원으로 3.2% 증가했다.

지난해 고(高)물가에 가계 실질소득이 두 분기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으로 이자지출은 역대 최대 폭으로 상승했고, 세금도 큰 폭으로 증가해 가계 부담을 늘렸다. 경기 둔화가 본격화한 가운데 물가·금리·세금 3중고가 민생을 압박하는 양상이다.

5% 물가 상승에 실질 구매력↓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3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464만2000원)보다 4.1% 늘었다. 하지만 물가 영향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1.1%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실질소득이 2.8% 줄어든 데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실질소득은 명목소득에서 물가 변동분을 뺀 수치로 가계의 실제 구매력을 보여준다.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7.5%) 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장에 찍힌 월급은 1년 전보다 4% 넘게 올랐지만, 정작 구매력은 떨어진 것이다.

 

팍팍한 소득에 비해 지출은 크게 늘었다. 작년 4분기 가계지출은 362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6.4% 증가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5.9% 늘며 여덟 분기 연속 증가했다.
세금이나 연금, 이자 등 소비활동과 관계없는 지출인 비소비지출도 92만8000원으로 1년 만에 8.1% 늘었다. 여기엔 근로소득세, 사업소득세 등 정기적으로 부과되는 세금인 경상조세 증가의 영향이 컸다. 가구당 납부한 경상조세는 19만4000원으로, 전년(17만5000원)보다 10.9% 늘었다. 지난해 근로소득이 7.9% 증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근로소득자의 ‘유리지갑’만 더 얇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소득세 수입은 57조4000억원으로, 1년 만에 21.6%(10조2000억원) 늘었다.
이자비용 지출액(11만1000원)은 28.9% 증가했다. 가계동향조사 대상에 1인 가구를 포함하면서 기준이 달라진 2006년 이후 최고치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4월부터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높인 여파가 숫자로 나타났다.

네 가구 중 하나는 ‘적자’

소득보다 지출이 더 늘면서 가계 재정도 악화됐다. 지난해 4분기 가계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총소득-비소비지출)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20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6.6%)에 이어 두 분기 연속 줄었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율도 24.8%로 전년 동기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가구 네 곳 중 한 곳은 매달 빚을 늘리며 살고 있는 셈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59.5%에 달했다.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12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6.6% 늘었다. 5분위 가구는 1042만7000원으로 2.9% 증가했다. 1분위 소득이 늘며 빈부 격차 수준을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로 전년 4분기(5.71배)보다 완화했다. 하지만 여전히 1분위 소득 가운데 39%(46만3000원)가 이전소득이었다.

정원 기재부 복지경제과장은 “저소득층의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됐지만 고물가와 경기 둔화 여파로 개선세가 계속될지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실질 소득 감소는 자영업 가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전체 가계 소득을 분류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월평균 명목 근로소득은 312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7.9%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명목 사업소득은 101만8천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증감 없이 제자리걸음이었다. 그러면서 지난해 4분기 실질 근로소득은 2.5% 늘었으나 실질 사업소득은 5% 줄었다.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2021년 2분기부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반 증가하다가 이번에는 근로소득이 계속 증가했지만 사업소득은 증가율이 0%였다”며 “인건비와 원자잿값, 이자비용 등의 상승이 (사업) 수익성을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사업소득은 총 수입액에서 인건비·재료비·임대료·전기료 등 사업에 쓰인 지출 전체를 차감해 산출한다. 사업소득과 달리 근로소득이 상승한 것은 취업자 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정부 지원금 감소도 자영업자 가구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공적이전소득(명목 기준)은 38만9천원으로 코로나19 손실보상금이 사라지면서 전년 같은 분기에 견줘 6.2% 줄었다. 코로나19 손실보상금은 전 국민이 아니라 코로나19 방역 조처로 매출감소 등 피해가 생겼던 자영업자들에게 지급됐던 지원금이다.

 

소득분배 지표는 소폭 개선됐다. 지난해 4분기 5분위(상위 20%) 가구 소득을 1분위(하위 20%) 가구 소득으로 나눈 배율을 뜻하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로 1년 전 같은 분기(5.71배)에서 0.18배포인트 축소됐다. 이진석 과장은 “근로소득 증가에 영향을 준 취업자 수 증가가 주로 1분위 내 60살 이상과 1인 가구에서 많았는데, 반면 사업소득이 감소한 자영업자들은 1분위보다는 5분위 쪽에 많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7천원으로 1년 전 같은 분기에 견줘 5.9% 증가했다. 4분기 기준으로 2009년(7.0%)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그러나 이 역시 물가 상승 영향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은 0.6% 증가하는데 그쳤다. 씀씀이는 1년 전과 별반 차이가 없었는데, 지갑에서 나간 돈은 6%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특히 냉·난방과 취사, 조명에 쓰이는 연료비 지출을 보면, 지난해 4분기 명목으로는 16.4% 늘었지만, 실질로는 8.9% 줄었다. 1년 전보다 난방을 덜했음에도 난방비는 더 냈다는 뜻이다.지난해 4분기에는 이자 비용도 전년 대비 28.8%나 늘어 가계 부담을 키웠다. ​연료비(16.4%)와 이자 비용 지출 증가 폭은 2006년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전 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다.

 

출처: 머니투데이, 매일경제, 한국경제, 강원도민일보, 한겨례, MBN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