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포기당 1만원? 배추가격도 폭등!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2. 9. 26.
반응형
SMALL

물가 안정을 위해 ‘절임배추’를 전년보다 1개월 가량 앞서 사전예약을 진행한다.


올해 농자재 가격, 유가, 인건비 등의 재배 비용 상승과 더불어 폭염, 폭우에 따른 생육 부진 및 무름병 발생으로 배추 작황이 좋지 않아 물량 부족 상황이 이어지며 배추 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농수산물유통정보(aTKAMIS)에 따르면 23일 기준 배추 1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9544원으로 9월 초 대비 29%, 평년 대비 63%가량 비싸다. 배추 가격 폭등은 김장을 하는 것보다 사먹는 것이 더 나은 상황이 되었고, 시중에 판매되는 포장김치 물량 부족 현상까지 야기했다.

더불어 매년 김치를 담가 먹는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켜, 올해는 김장을 포기하는 이른바 ‘김포족’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많은 상황이다.

배추 도매가격이 포기당 1만원대에 육박했다. ‘금배추’라는 말이 나온다. 우유값도 요동치고 있다. 낙농가의 생산비 급등으로 원유값 인상이 기정사실화하면서 소비자가격이 ℓ당 3000원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2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배추 10㎏ 평균 도매가는 3만4080원으로 평년(1만6558원) 대비 105%나 높았고, 1포기 소매가는 9544원으로 1년 전(5811원)과 비교해 64.3% 뛰었다.
두 품목 모두 롯데마트 자체 품질, 위생 현장점검을 통과한 100% HACCP(해썹) 인증 제품이며, 200t 물량을 준비했다. 해남과 영월에서 11월에 출하될 배추는 8월부터 재배되어 현재 출하되는 고랭지 배추에 비해 기후 피해가 적기에 출하량이 안정될 것이라는 예상과 더불어 200t의 대량 물량을 사전 협의해 현재 시세 대비 대폭 낮은 수준으로 선보일 수 있었다. 사전예약 기간 동안 롯데마트 매장의 ‘도와드리겠습니다’ 센터에서 접수하면 11 10일부터 12월 7일까지 매장에서 수령할 수 있다.

폭염과 태풍으로 배춧값이 크게 오르면서 김치 대란이 이어지면서 일각에서는 “이러다가 이젠 부자들만 김치 먹겠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배춧값은 계속 오르지만 품질은 떨어져 주민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 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배추 10kg 도매가격 평균은 3만 1400원으로 지난달보다 83.4% 가격이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땐 120.6% 오른 가격이다.

이처럼 배춧값은 많이 뛰었지만 품질은 예년보다 좋지 않다. 롯데마트는 일부 매장의 배추 판매대에 외관상 판매할 수 있는 상품도 속이 갈변했을 수 있다며 갈변 제품을 가져오면 즉시 교환해준다는 안내 문구를 내걸기도 했다.


문제는 배추가격뿐만 아니다. 김장 재료인 무와 대파 등 김치에 들어가는 속 재료 가격도 치솟고 있다. 무는 20㎏ 기준 3만 2960원으로 지난해 가격(1만 1964원)보다 175% 올랐으며, 건고추·마늘은 8∼15%가량 비싸졌다.

 

통상 배추는 2∼3개월 정도 키운 뒤 수확하는 데 9월 들어서는 기상 상황이 나쁘지 않아 김장철인 11월에는 수확량이 늘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도매가와 소매가도 정부가 비축물량을 풀겠다고 발표한 20일을 기점으로 소폭 하락했다.


 “배추값 폭등으로 김장 준비에 걱정인 고객을 위해 전년보다 1개월 앞서 사전예약 판매를 기획했다”며, “향후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고물가로 부담을 느끼는 고객들의 걱정을 덜 수 있도록 노력할 것”고 말했다.

 

출처: 이데일리, 세계일보, 디지털타임스, 연합뉴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