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안심전환대출이 뭔가요? 그리고 어떻게 신청하는건가요?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2. 9. 27.
반응형
SMALL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는 우대형 안심전환대출이 23일 기준 7거래일 간 1만5658건이 신청됐다고 26일 밝혔다. 누적액은 1조6964억원이다. 전날 하루 동안 1464건, 금액으로는 1269억원이 추가 접수됐다.


창구별로는 주금공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누적 8848건(8464억원), KB국민·신한·NH농협·우리·하나·IBK기업은행 등 6대 은행 앱과 영업 창구에서 8116건(7194억원)이 신청됐다.

안심전환대출은 금리상승기 주담대 차주의 이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변동·혼합형금리 주담대를 주택금융공사의 3%대 장기·고정금리 정책모기지로 바꿔주는 상품이다.

대출금리는 연 3.8(만기 10년)~4.0%(30년) 이고, 만 39세 이하면서 연소득이 6000만원 이하인 저소득 청년층의 경우 연 3.7(10년)~3.9%(30년)의 금리가 적용된다.

부부합산소득 7000만원 이하, 주택 가격(시세 기준) 4억원 이하인 1주택자라면 신청할 수 있고, 기존 대출 잔액 범위 내에서 최대 2억5000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오는 28일까지는 주택 가격 3억원 이하, 10 6~13일까지는 주택 가격 4억원 이하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는다.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일자가 다른 5부제를 적용해 신청을 받고 있다.안심전환대출은 금리 상승기 주택담보 대출자의 상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은행과 저축은행 등 제1·2금융권에서 받은 변동·혼합형 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주금공의 3%대 장기·고정금리 정책모기지로 바꿔주는 상품입니다. 

국민은행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은 이들 은행의 모바일 앱이나 영업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이외에 지방은행이나 저축은행 등의 차주는 주금공 홈페이지와 앱에서 가능합니다.


한편, 전산 장애 등 혼선을 줄이기 위해 접수는 주택가격과 주민등록번호 출생 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 일자를 분산해 진행 중입니다.
오는 27일에는 2·7 28 3·8 29일과 30일엔 끝자리와 상관없이 주택가격 3억원 이하 차주면 신청 가능하다.

 

그렇다면 이 정책에 대한 현재까지 평가는 어떠한지 알아보자.

 

정부가 지난 15일 선보인 정책금융상품인 안심전환대출에 대해 금융권에선 이 같은 중간 평가가 나온다. 안심전환대출은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최저 연 3.7%의 장기·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상품이다. 날이 갈수록 치솟고 있는 시장금리 탓에 출시 직후 신청이 쇄도할 것이라는 섣부른 예상도 나왔지만 정작 뚜껑을 열고 보니 공급 실적이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는 지적이다.

초라한 중간 성적표

25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 15일 출시된 후 22일까지 접수한 안심전환대출 누적 신청 건수는 총 1만5500건이다. 누적 취급액은 약 1조4389억원으로 안심전환대출 공급 목표인 25조원의 약 5.7%에 불과했다. 창구별로는 주금공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7985건(7686억원),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은행 등 6대 은행 앱과 영업 창구에서 7515건(6703억원)이 신청됐다.

앞서 주금공은 출시 초 신청자가 몰릴 것에 대비해 출생연도 끝자리 숫자에 따라 신청 일자를 배분하는 등 부산을 떨었다. 예컨대 첫날인 15일엔 출생연도 끝자리가 4와 9인 사람만 신청할 수 있었다. 이어 16일에는 끝자리가 5와 0인 사람만 신청 가능했다. 이렇게 지난 21일까지 모든 출생연도를 한 바퀴 돌고 22일부터 전 연령층에서 신청할 수 있게 됐지만 초반 실적은 여전히 기대 이하였다.

역대 안심전환대출 공급 사례와 비교하면 이 같은 실적 부진은 더욱 두드러진다. 2015년 처음 나왔던 안심전환대출은 목표 공급액 20조원이 단 4거래일 만에 소진돼 한도를 추가로 20조원 늘렸다. 2019년에도 20조원 목표로 선보였으나 2주 만에 신청액만 70조원을 넘어섰다.

넘기 어려운 가입 문턱

2022년판 안심전환대출이 이처럼 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는 것은 높은 가입 문턱이 첫손에 꼽힌다. 정부는 부동산 투기를 돕는다는 비판을 불식시키기 위해 대상 요건을 주택가격 4억원 이하, 연소득 7000만원 이하인 차주로 엄격히 제한했다. 2015년 집값 9억원 이하에 소득 기준조차 두지 않았던 것과 크게 차별화된다.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 디딤돌대출 등 정책 주담대는 안심전환대출 신청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주택 가격과 소득 요건 등을 고려할 때 이를 충족하는 상당수가 이들 정책 주담대 고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리 경쟁력이 과거에 비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안심전환대출 금리는 연 3.8%(10년)~4.0%(30년)이고, 저소득 청년층(만 39세 이하·소득 6000만원 이하)은 연 3.7%(10년)~3.9%(30년)다. 2015년엔 연 2.5~2.7%, 2019년엔 연 1.852.2%였다.

여전히 변동금리 대출을 선호하는 대출 고객이 적지 않다는 점도 수요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한 시중은행 여신 담당자는 “고객들은 수년간 이어진 저금리에 익숙해져 있다”며 “경기침체가 본격화하면 중앙은행이 다시 금리를 내려 연 2%대 시대로 회귀할 것이라고 믿는 고객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주금공은 안심전환대출 누적 신청액이 공급 한도에 미달하면 주택 가격 기준을 올려 추가로 신청받을 예정이다.

 

출처: 데일리안, 한국경제, sbs비즈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