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이 폐기된 이후 중국 부유층의 ‘탈출’이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만 1500억달러(약 185조원) 이상의 중국 자금이 해외로 유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은 유명 이민 자문회사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주 자문회사들은 제로 코로나 정책이 풀린 지난해 12월부터 이주를 위해 해외 부동산 등에 대한 중국인들의 문의가 부쩍 많아졌다고 전했다.
캐나다 이민 전문 법률 회사인 소비로프스는 이민 관련 상담 예약이 폭증했다며, 가급적 빨리 이민을 오고 싶어하는 중국 고객이 많다고 했다. 해외 부동산 중개 업체인 주와이 IQI는 중국인의 해외 부동산 매수 문의가 올해 들어 전년 대비 55% 폭증한 상태라고 전했다.
중국 부자들의 엑소더스는 ‘공동 부유’를 내세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IT기업과 부동산, 교육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며 생긴 불안감 때문이다. 코로나 유행 이후 시 주석이 기업과 부유층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해외 이주를 추진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다.
블룸버스통신은 ‘공동부유(共同富裕)’를 내세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기술기업과 부동산, 교육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자 부유층들이 해외 이주로 눈을 돌렸다고 해석했다.
‘모두 같이 잘 살자’는 뜻의 공동부유는 시 주석의 경제 어젠다다. 성장의 성과를 모든 국민이 공유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분배 강화 등을 내세우는 공동부유 기조에 중국 부유층이 불안감을 느꼈다는 게 외신의 분석이다.
다수의 국제 이주 자문업체에 따르면, 제로 코로나 정책이 풀린 지난해 12월부터 중국인들의 해외 이주 관련 문의가 크게 늘었다. 캐나다 이민 전문 법률회사인 소비로프스는 이민 관련 상담 예약이 폭증했다면서 가급적 빨리 이민을 오고 싶어 하는 중국 고객이 많다고 밝혔다. 해외 부동산 중개 업체인 주와이 IQI에 따르면, 중국인의 해외 부동산 매수 문의가 올해 들어 55% 폭증했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는 “코로나19 대유행 전에도 해외로 나간 중국인들로 인한 자금 유출이 연간 1500억달러에 달했으며 올해는 그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부유층의 ‘엑소더스’ 움직임을 감지한 금융기관들은 재빨리 ‘부자 손님 붙잡기’에 나섰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와 줄리어스 베어 그룹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스위스 취리히에 중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전담 직원들을 배치해 이주를 원하는 중국 부유층을 맞고 있다.

부자들의 해외 이주가 본격화하면 위안화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고, 세계 제2의 경제대국에서 '브레인 드레인'(두뇌 유출)이 본격화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망했다.
시진핑 주석이 3연임을 확정해 종신 집권의 기반을 다진 뒤 ‘공동 부유’를 외치고 있고, 지난 2년 동안의 엄격한 ‘제로 코로나’로 자유가 크게 제약된 중국의 부자들은 크게 겁을 먹고 있었다.
중국이 지난달 국경을 개방하며 제로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가운데, 중국의 부유층들이 해외로 이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민까지는 아니더라도 중국인들이 중국을 속속 떠나거나 여행하면서 외환보유고가 급감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국제 부동산 중개 업체인 주와이IQI의 데이터를 인용, 중국 본토인들의 국제 부동산 구매 문의 건수가 올해 들어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고 밝혔다. 해당 수치는 2021년 전년 대비 26%, 지난해에는 11% 감소한 바 있다.

중국이 방역 완화 방침을 발표한 후인 지난달 26일 기준 중국 메신저 위챗에서 '이민' 검색 건수는 총 1억1070만건으로 전일 대비 5배 폭증하기도 했다.
이미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중국을 떠난 이들도 많다. 정보분석 업체 뉴월드웰스는 지난해 해외로 이주한 중국 부유층이 1만800명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많았다면서 중국 부유층의 해외 이주가 이미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부유층의 해외 이민 규모는 러시아(1만5000명)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
캐나다 이민 법률업체인 소비로브스는 "지난 6개월간 중국 정부에 진저리가 난 사람들의 상담 예약이 급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중국 고객들은 가능한 한 빨리 이민하길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민이 아니더라도, 급증하는 해외여행 영향으로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급감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천즈우 홍콩대학 석좌교수는 "올해 수백만 명의 중국인들이 해외여행을 간다면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1000억~2000억달러(약 123조~246조원)에 달할 수 있다"면서 "이는 위안화에 대한 평가절하 압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민과 현지 정착을 돕는 컨설팅 업체에 지난달 제로코로나 해제 이후 중국 부유층의 이민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 헨리앤파트너스는 중국이 지난달 초 제로코로나를 폐지한 이후 직전 주 대비 이민 문의가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 들어 부동산업체 쥐와이IQI에 해외 부동산을 취득하겠다고 문의하는 중국 본토 고객도 전년동기대비 55% 많아졌다. 헨리앤파트너스의 정보분석회사인 뉴월드웰스의 집계에 따르면 2020~2021년 2년간 500건 미만에 불과했던 중국 부유층 이민자 수는 작년 12만5000건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15만6000건)의 80% 선을 회복한 것이다.

이로 인해 올해 1천500억달러(약 185조원) 이상의 중국 자금이 해외로 유출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5일(현지시간) 전했다.
중국 부유층은 그동안 공산당 지배를 받아들이는 한 별다른 위협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대유행한 지난 2년간 시진핑 주석이 공동 부유를 내세워 기업과 부유층에 대한 압박을 강화한 뒤부터는 불안감 속에 해외 이주를 추진하는 경우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실제 국제 이주 자문업체 관계자들은 제로 코로나 정책이 풀린 지난해 12월부터 이주를 위해 해외 부동산이나 기업을 찾는 중국인들의 문의가 부쩍 많아졌다고 밝혔다. 캐나다 이민 전문 법률회사인 소비로프스는 이민 관련 상담 예약이 폭증했다면서 가급적 빨리 이민을 오고 싶어하는 중국 고객이 많다고 말했다.
해외 부동산 중개 업체인 주와이 IQI는 중국인의 해외 부동산 매수 문의가 2021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26%와 11% 줄었으나, 올해 들어서는 55% 폭증한 상태라고 전했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는 코로나19 대유행 전에도 해외로 나간 중국인들로 인한 자금 유출이 연간 1천500억달러에 달했으며 올해는 그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가르시아 에레로는 당국의 규제로 자금 유출 규모가 예년보다 커지지 않는다고 해도 노동력과 생산성, 성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지난해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재산 5천만달러(약 616억원) 이상 최상위 부유층은 3만2천명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많다.
정보분석 업체 '뉴 월드 웰스'는 지난해 해외로 이주한 중국 부유층이 1만800명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많았다면서 중국 부유층의 해외 이주가 이미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해외 이주를 원하는 중국 부유층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붙잡기 위한 금융기관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JP모건체이스와 줄리어스 베어 그룹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스위스 취리히에 중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전담 직원들을 배치해 이주를 원하는 중국 부유층을 맞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일각에서는 부유층의 해외 이주가 아니더라도 지난 3년간 억제됐던 중국인들의 해외여행이 올해 다시 시작되면 해외여행 비용만으로도 수백억달러가 해외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크레디트스위스의 국가별 부유층 이민자 집계에서도 러시아 다음으로 중국 부유층 이민이 많았다. 이들은 포르투갈과 그리스, 싱가포르 영주권이나 카리브해 섬나라인 그레나다, 세인트 루치아의 시민권 을 가장 선호했다.
이들이 중국을 떠나는 데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1인 집권체제에 뒤따른 강력한 산업 규제와 부유층에 적대적인 정책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블룸버그는 “공산당 통치에 의문만 품지 않으면 계속 부유해지는 데 익숙했던 부자들이 최근 2년간 공동부유와 빅테크·부동산·교육 부문 초강력 규제 등을 경험한 후 겁에 질렸다”고 분석했다. 하루 아침에 도시가 봉쇄되고 이동의 자유를 빼앗기는 것을 경험한 중국인들은 이민을 문의할 때도 “가능한 한 빨리, 바로 이민을 원한다”고 요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이민 유행은 ‘슈퍼리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 이민 트렌드와 다르다. 홍콩의 이민전문변호사인 데니 코는 블룸버그에 “부자들은 오래 전부터 이민을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요즘 이민을 알아보는 사람들은 초고액 자산가가 아닌 사업가나 회사의 고위직 임원 등 중상류층”이라고 말했다. 실제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SNS)인 위챗에서는 지난달 26일 기준 ‘이민’ 검색량이 전날보다 4배 늘어난 1억1070만 건에 달했다.
투자은행 나티시스에 따르면 중국에는 코로나19 이전에 이미 해외 이민으로 인해 매년 1500억 달러(184조원)의 자본 유출이 있었다. 올해 해외 이민 수요자가 증가하면 이 규모는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알리시아 가르시아 헤레로 나티시스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은 올해 위안화와 경상수지에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며 “자본 유출이 예년보다 크지 않더라도 (해외 유출 인구는) 여전히 노동력과 생산성,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이같은 상황에서 ‘제로 코로나’가 해제되자 중국 부자들의 중국 엑소더스(대탈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캐나다 이민 법률 회사인 소비로브스는 “북미 국가로 이주하려는 중국인 고객들의 요청이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의 선임 변호사인 페루자 다발로바는 “중국 고객들이 하루빨리 중국을 빠져나가고 싶다”며 “이민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자본은 물론 두뇌 유출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이전에도 중국은 해외로 나가려는 사람들 때문에 매년 약 1500억 달러(약 184조원)의 자본 유출에 직면했었다.
그러나 부자들의 중국 엑소더스가 본격화할 경우, 이보다 훨씬 많은 자본이 유출될 전망이다.

이는 위안화 약세를 야기해 중국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전망이다.
이뿐 아니라 인재의 해외 유출도 심각할 전망이다. 특히 IT기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은 자유로운 분위기를 좋아해 이민을 서두르고 있다. 이는 대규모 인재 유출로 이어져 중국 경제성장에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부자들의 이탈은 이미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투자 이민 컨설팅 회사인 헨리 & 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해 약 1만800명의 중국인이 이민을 했다. 이는 코로나 발병 전인 2019년 이후 최대다. 이는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에 이어 세계 2위다.
이 회사는 제로 코로나 종료 이후 중국인들의 이민 문의가 전월 대비 4배 이상 급증했다며 중국 부자들이 탈중국을 서두르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는 “코로나 유행 전에도 해외로 나간 중국인들로 인한 자금 유출이 연간 1500억달러에 달했다. 올해는 그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출처: 한국경제, 조선일보, 파이낸셜뉴스, 시사저널, 헤럴드경제, 뉴스1, 아시아경제, 매일경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주가 갑자기 40% 급등? 차값 할인이 주가부양에 도움이 된걸까? (38) | 2023.02.03 |
---|---|
삼성전자 어닝쇼크에 주가 곤두박질....메모리 향후 전망은? (22) | 2023.01.31 |
빌라왕 사기속출 위험속...전세보증보험 HUG의 청구는 쉬울까? 현재 대책은? (42) | 2023.01.26 |
난방비 폭등 전기, 가스 다 끄고 살아야하나? 대책은? (32) | 2023.01.25 |
위믹스 상장폐지 아픔을 이기고 급등? 대표도 꾸준히 매입? (29)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