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문화

명화 이해하기(3) 김홍도 - 타작 해설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2. 3. 31.
반응형
SMALL


이 그림에는 잘 익은 곡식을 거두어들인 후, 열심히 낟알을 떨어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게로 벼를 잔뜩 져 나르는 사람, 가져온 볏단을 개상이라고 부르는 긴 통나무 위로 메어쳐서 이삭을 털어내고 있는 사람들, 땅에 떨어진 낟알을 빗자루로 쓸어 모으는 사람 등, 모두 여섯 명의 일꾼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하나같이 열심히 일을 하고 있다.

그림 상단에는 자리를 펴고 비스듬히 누워 담뱃대를 물고 이들을 감독하는 사람이 등장하는데, 아마도 지주이거나 혹은 지주가 고용한 마름으로 보인다.

그는 갓을 삐딱하게 젖혀 쓰고, 도포의 팔을 걷고, 한손으로 팔베개를 하고, 담뱃대를 물고 볏단을 베게 삼아 비스듬히 누워 한껏 여유로운 표정을 짓고 있다.

자리 옆에 술병과 잔이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그는 이미 술을 한 잔 걸친 모양으로, 맨 정신이 아닌 취한 채 감독을 하고 있는 듯하다.

일꾼들은 등거리라고 불리는 소매가 없거나 아주 짧은 홑 겉옷에 무릎 까지 오는 반바지인 잠방이를 입고 있거나, 웃통을 벗은 채로 일하고 있는데 둘 다 주로 여름에 입는 일옷이다.

또 일꾼들은 대부분 맨발이지만, 벼 한단을 들어 올려 개상에 내리쳐 이삭을 털고 있는 남자만 버선을 신고 있다.

그의 앞에서 다리를 구부리고 볏단을 정리하고 있는 사람은 상의는 풀어 헤쳤고, 머리에는 삼각형 모양의 건을 쓰고 있다. 일꾼들은 비록 힘든 노동을 하고 있지만, 수확의 기쁨으로 얼굴엔 미소를 띠고 있다.

<벼 타작> 역시 <풍속화첩>속에 들어있는 다른 풍속화와 마찬가지로 배경은 그리지 않고 인물만 나온다.

화면 상단 오른쪽에 감독하는 인물이 쓴 갓의 끝점에서 출발해 하단의 비질을 하고 있는 일꾼의 신발 끝까지 이으면, 커다란 ‘S’자가 만들어지는 구도로 단원은 인물들을 배치하였다.

이 그림은 한정된 공간 안에 열심히 일하는 사람과 놀고 있는 사람을 대비시키며, 타작하는 현장의 사뭇 다른 분위기를 생생하게 잘 보여주고 있다.

타작 장면은 김홍도 외에 다른 화가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다.


단원보다 아홉 살 어린 화원 화가 김득신(金得臣, 1754~1822)도 같은 장면을 그렸는데, 김득신은 단원과는 달리 배경으로 나무 및 자연의 풍경을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김득신作, 풍속팔곡병 중 '타작', 호암미술관 소장.
김홍도는 조선 후기의 화가로 김해 김씨이고, 호는 단원이다.

그는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산수화·인물화·도석화·풍속화·영모화·화조화 등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김홍도의 풍속화에는 특히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력, 서민들의 생활에 대한 깊은 공감이 잘 드러나 있다.

출처 : 뉴스퀘스트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