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문화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한국도 시행되나? OTT서비스 치킨 게임의 승자는?

by KS지식 - 문화 YouTube 2023. 5. 29.
반응형
SMALL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가 미국에서 계정공유 금지 조치에 나선 가운데 국내에서는 언제 시행될지 관심이 쏠린다. 넷플릭스코리아는 적용 시점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다.

넷플릭스 설립 25주년 간판. [사진=넷플릭스]

29일 넷플릭스코리아는 구독자 계정공유 금지에 대한 적용 시점을 묻는 아이뉴스24 질의에 "한국이나 다른 국가의 경우 (계정공유 금지 적용) 시기나 방식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답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외 다른 지역에서도 계정공유 금지 조치가 시행되겠지만 당장은 이를 적용할 계획이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계정공유란 이용자들이 자신의 계정을 타인에게 공유해 하나의 계정으로 다수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당초 넷플릭스는 '비밀번호 공유는 사랑'이라며 이용자간 계정공유를 허용했지만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입장을 바꿨다.

그동안 넷플릭스는 "세계적으로 구독자들이 계정을 공유하고 공짜 시청자들이 늘어나면서 수익성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유로 계정공유를 단속하겠다는 의지를 수차례 드러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계정공유로 콘텐츠를 무료 시청하는 가구 수가 약 1억 가구에 달한다.


이미 미국에서는 계정공유 금지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23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넷플릭스 계정이 한 가구에서만 이용되도록 변경하겠다고 공지했다.

가구 구성원이 아닌 사람도 계정을 공유받을 순 있다. 다만 넷플릭스에 일정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넷플릭스는 "계정을 공유하길 원한다면 직접 요금을 지불하도록 새 멤버십으로 프로필을 이전하거나, 추가 회원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조치가 가입자 이탈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미국 외 지역에서 넷플릭스가 공유금지 조치를 시행하는 것도 이와 관련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계정공유 금지가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되겠지만 가입자 이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국내에서 계정공유 금지가 언제 시행될지는 미국 상황을 보고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넷플릭스가 100여곳이 넘는 국가에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유료화 정책)을 시행했다. 일부 구독자의 반발에 따른 구독 취소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오는 7월 예정된 2분기 실적 발표 때 유료화 정책 여파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는 아직 국내에 유료화 정책을 도입하지 않았지만 조만간 조치할 것으로 보인다.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들은 유료화 정책 도입 계획이 없다면서도 조치 전후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28일 넷플릭스 고객센터에 따르면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유료화 정책) 시행 지역(국가 및 일부 국가 해외 속령 포함)은 100여곳이 넘는다.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등 대부분 국가는 지난 24일(현지시간)에 적용됐다. 앞으로 이들 국가의 넷플릭스 회원들은 한 가구에 살지 않는 가족 또는 친구 등과 계정을 공유해야 할 때 일정액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넷플릭스의 이번 조치로 유료화 정책 시험이 사실상 끝났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3월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페루 등 중남미 3개국에 시범 운영하기 시작한 유료화 정책은 지난 2월 뉴질랜드, 스페인, 캐나다, 포르투갈까지 시행국을 넓혔다.

넷플릭스는 이들 국가에 우선 적용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구독자가 줄었지만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특히 캐나다의 유료 회원 매출 등 실적이 유료화 이전보다 더 좋아졌다며 미국 시장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넷플릭스는 지난달 2분기 안에 유료화 정책 시행 지역을 대대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직 국내에는 시행하지 않았지만 조만간 다른 국가처럼 국내 회원을 대상으로 계정 공유 단속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비밀번호 공유는 사랑"이랬던 넷플릭스, 이용약관대로 계정 공유 단속

 

[서울=뉴시스] 넷플릭스는 지난 2017년 트위터 공식 계정에 "비밀번호 공유는 사랑"이라며 계정 공유를 장려하는 듯한 글을 올렸다. (사진=넷플릭스 트위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넷플릭스의 계정 공유 단속은 기존 이용약관대로 진행하는 만큼 정책 시행 정당성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넷플릭스는 이용약관에 '이용 중인 멤버십이 달리 허용하지 않는 한 회원의 가구 구성원이 아닌 개인과 계정을 공유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른 국내외 OTT도 비슷하다. 티빙과 웨이브 이용약관에는 '가구'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지만 제3자와의 계정 공유를 금지하고 있다. 디즈니플러스도 '로그인 자격 증명'을 제3자와 공유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OTT가 친구들과 계정을 공유하는 회원을 단속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오히려 국내 OTT는 '친구 4명이서 월 얼마에 이용할 수 있다'는 등 문구를 사용해 제3자와의 계정 공유를 단속하지 않고 있다.

넷플릭스도 한때 이용약관에 어긋나는 계정 공유를 용인해왔다. 특히 지난 2017년 3월 넷플릭스는 공식 트위터 계정에 "비밀번호 공유는 사랑"이라며 계정 공유를 통한 이용자 확대를 장려한 바 있다.

하지만 OTT 시장은 현재 유료 회원이 크게 늘지 않는 정체기에 접했다. 무료 이용자 확대는 결국 OTT 수익 악화로 이어진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로 콘텐츠를 무료 시청하는 가구가 약 1억 곳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넷플릭스 계정을 무료로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자 이용약관대로 구독료를 내는 회원이 오히려 손해를 본다는 일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넷플릭스의 유료화 정책은 한 가구 밖에 사는 가족 또는 친구와 계정 공유를 허용하되, 이용약관에 어긋나는 만큼 일정 부분 돈을 내라는 방침인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화 정책 계획 없는 OTT 업계, 넷플릭스 2분기 실적 결과 따라 판단 바뀔 수도

[서울=뉴시스]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 웨이브 CI. (사진=티빙, 웨이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을 대대적으로 시행하면서 이번 2분기 구독자 수가 얼마나 변화할지도 주목된다. 그동안 넷플릭스가 소수 지역에만 유료화 정책을 시행했기 때문에 이 정책이 구독자 수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웠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와 대륙별 구독자 수만 공개하기 때문이다.

일부 시장조사업체가 유료화 정책으로 이용자가 크게 줄었다는 조사 결과를 낸 바 있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칸타'는 지난 2월 스페인에 유료화 조치 후 이용자가 100만명 줄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용자'가 줄은 거지 '구독자'가 줄었다는 게 아니므로 실제 구독 취소량이 얼마나 됐는지 알 수 없다.

결국 넷플릭스의 유료화 조치에 따른 단기적 결과는 2분기 실적에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는 통상적으로 매년 7월 2분기 가입자 수 공개 등 실적을 발표한다.

이때 구독자 수 변화가 크게 없으면 OTT 업계가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가능성도 있다. OTT 대부분은 현재 콘텐츠 제작비와 인건비 등 상승으로 적자를 보는 상황이다. 예컨대 티빙과 웨이브는 지난해 10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낸 바 있다. 유료화 정책 후 일부 무료 이용자가 새 유료 회원가입으로 이어진다면 국내 OTT도 계정 공유 유료화를 마다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다만 티빙, 웨이브, 왓챠 등 국내 OTT는 현재 유료화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 세계 구독자를 대상으로 멤버십 사업을 하는 넷플릭스와 국내 구독자를 주 소비자로 삼는 토종 OTT와는 사정이 다르다는 게 이유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국내에 유료화 정책을 시행할 경우 조치 전후 실적 변화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간 콘텐츠 경쟁이 극한으로 치닫으면서 토종 OTT들이 적자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다. 반면 상대적으로 재정적인 측면에서 여유가 있는 넷플릭스는 광고요금제, 계정공유 제한 정책을 통해 국내에서 연간 광고 매출로만 최대 3500억원이 넘는 수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 OTT들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콘텐츠 세액공제율 상한선 확대 등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29일 애플리케이션(앱) 시장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4월 국내 OTT 서비스 앱 설치자 수는 30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동월(2979만명) 대비 21만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2년까지 직전년도 대비 26~112%가량(700만명대) 늘어왔던 데 비하면 현저히 줄어든 수치다. 4월 월간 사용자 수(MAU)는 넷플릭스가 1156만명으로 독보적인 1위다. 쿠팡플레이, 티빙, 웨이브, 왓챠 등 토종 OTT의 MAU를 합쳐야 1259만명으로 겨우 비슷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종 OTT는 계속해서 콘텐츠 투자에 실탄을 쏟고 있다. '오징어게임'과 같은 킬러 콘텐츠 육성을 위해서 투자 경쟁에서 뒤처질 수 없다는 판단이다.


OTT, 콘텐츠 업계가 국내 콘텐츠 세액공제율 상향 등에 목소리를 내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올해부터 OTT도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되지만, 국내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은 △대기업 3%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로 미국(20~30%) 등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 아마존 등은 자국에서 높은 세액공제율을 통해 콘텐츠 제작시 많은 세제 혜택을 받고 있다"며 "국내 기업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체력을 뒷받침하는 정책이 절실한 상황이다"고 밝혔다.

반응형
LIST

댓글